공부하는 저도 헷갈려서 각종 주요 지수 의미를 정리해놓고자 합니다.
-코스피 (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종합주가지수'라는 의미, 현재 국내 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전체적인 주가를
기준시점 1980년 1월 4일 시가총액을 기준(100)으로 산출한 값
-코스닥 (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제2의 시장으로 벤쳐, 중소기업 시장들이 주를 이루는
코스피 시장에 상장하기에 제약이 많아 진입장벽이 좀 더 낮은 시장
(코스피 상장 조건: 설립한지 3년 이상, 기업 자본금 300억 이상, 상장 주식 100만 주 이상, 시가총액 6000억 이상, 자기자본 2000억 이상)
(코스닥 상장 조건: 회사 시총 1000억 이상, 자기자본 250억 이상)
-다우존스 (Dow Jones)
미국 다우 존스사가 매일 발표하는 뉴욕 주식시장의 평균주가,
경제 상황에 따라 교체되는 미국 30개 대표종목 주가를 평균한 지수
(미국 증권시장 동향과 시세를 알려주는 뉴욕 증시의 대표적인 주가지수)
다우지수는 개별기업의 수익률의 총합을 총기업수로 나누는 방식인 수익률 평균방식으로 지수를 사용하는데, 이 때문에 시가총액 가중방식을 사용하는 S&P500지수에 비하여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다. 또한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우량기업 30개의 규모가 크고 오래된 주식들만을 포함하고 있어 이 주식들이 시장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S&P500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미국의 Standard and Poors(S&P)이 작성한 주가 지수 .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의 주가 지수지만,
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종목수가 다우지수의 30개보다 훨씬 많은 500개이다.
지수의 종류로서는 공업주(400종목), 운수주(20종목),
공공주(40종목), 금융주(40종목)의 그룹별 지수가 있다.
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종목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우량기업주를 중심으로 선정한다.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는 전종목을 대상으로 지수를 산출하기 때문에 시장 전체의 동향 파악이 다우식보다 용이하고 시장구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장점이 있는 반면,
대형주의 영향을 크게 받고 투자자가 느끼는 주가의 변동추이와 지수움직임이 큰 차이를 보인다는 약점을 안고 있다. 산출방식은 비교시점의 주가에 상장주식수를 곱한 전체 시가총액과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대비한다.
-나스닥 (NASDAQ =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Automated Quotation)
벤처기업들이 상장되어 있는 미국의 장외시장,
한국의 코스닥과 비슷한 개념
(High Risk, High Return Market)
'주식, 재테크 > 각종 정보,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국채를 사보자, 채권은 왜 사는가? #미국국채 #헤지 #TLT #IEF #SHY (0) | 2020.01.25 |
---|---|
좋은 주식, 저평가주를 찾는 방법 #EPS #PER #BPS #PBR #ROE #ROA (0) | 2020.01.25 |
부자는 어떤이들인가? #부자 #부자란 #부자되기 (0) | 2020.01.25 |
우한폐렴, 미국 증시에 미칠 영향을 예측해보자! (0) | 2020.01.23 |
주식으로 성공하는 법 - '복리'를 이해하라 (심화) (0) | 2020.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