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하면 경제적 자유를 누릴수 있을까?'를
저는 하루종일 생각합니다.
여러 경제 뉴스, 다양한 선배님들의 블로그 분석
관심 종목들의 과거 가격 변동 복기 등등을 하며
공부를 하던 중에 엉뚱한 미래를 상상해보았습니다.
제가 지금 소유하고 있는 신월시영 아파트 21평형의
시세가 요즘 5.5억 정도 하는 것 같습니다.
거기에 제가 1억정도의 부채를 가져와 레버리지 전략을 취한다고
생각해봤을때 제가 가용할 수 있는 자산은
6.5억정도 인 것 같습니다.
6.5억을 미국의 월배당금도 높고 변동성이 적은 편인
'QYLD' ETF 상품에 몰빵을 한다고 가정을 해보면,
(ETF가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carisemakwon/221767367417
하락장에 수익을 내는 종목이 있다? #하락장수익종목 #인버스ETF
일반투자자들은 시퍼런 하락장에 손가락만 빨고 있겠지만조금더 주식에 관심이 있고, 공부를 하는 사람이라...
blog.naver.com
(6.5억 - 약 280만원 (미래에셋 사용시 환전수수료 1달러당 5원 포함) ) / 환율 1157.9
= 약 558,943 달러
> QYLD 현재가격 약 $24
= 558,943 / 24
> 약 23,289주를 구입 가능 하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QYLD에 대해서는 선배 블로거께서
잘 써놓으신 아래 글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https://happy-life88.tistory.com/41
[미국주식] 고배당 월배당ETF : QYLD
요즘 많은 분들에게 관심을 받으며 인기가 상승중인 ETF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GLOBAL X에서 운영하는 고배당+월배당ETF인 QYLD가 오늘의 주인공입니다. #QYLD에 대한 간략한 소개 풀네임인 "Nasdaq 100 Covered..
happy-life88.tistory.com
본론으로 돌아와서 QYLD의 dividend 배당금은
1주의 약 (연) 9.73%정도가 됩니다.
출처: https://etfdb.com/etf/QYLD/
여기서 월배당이니 9.73% / 12 = 월 0.81% 배당금
즉, 매달 $558,943 * 0.81% = 약 4527달러에서 배당소득세 15%를 제외한
= 4527달러 * 0.85 = $3848 (약 446만원)가 매월 배당금으로 지급될 것이고,
(양도소득세는 이 주식을 매도한 것이 아니므로 적용되지 않음!!)
-금융소득 종합과세 (구간별로 세율이 다름)
> 근로소득 0이라고 가정했을때,
12개월간 배당 총소득은 446만원 * 12 = 5352만원
> 2천만원 초과분 부터 과세대상이기 때문에
과세대상 금액은 3352만원, 세율은 16.5%에 해당
> 배당금을 입금 받을때 이미 15% 원천징수되었음으로
초과분 3352만원에 대해서만 추가로 (16.5% - 15%) = 1.5% 종합소득세를 납부하면 됩니다.
= 3352만원 * 1.5%
= 1년에 약 50만원
출처: https://usstock.tistory.com/168
*총 월 순수익 from 배당금은
= 446만원 - (50/12)만원
= 약 440만원 되겠습니다.
물론, 버블 붕괴와 경제 위기를 대비한
헤징을 위해 어느정도 비중은 타 상품을 구매해야 할 것이고,
여러 담지 못한 변수들이 있지만,
꼭 월세를 받는 임대사업자가 아니어도
월배당주를 잘 활용한다면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SPY(S&P500 지수 추종 ETF) = 파란색,
QYLD = 분홍색의 변동성을 비교해 본 그래프 입니다.
QYLD가 꽤나 변동성이 적고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finance.yahoo.com
(본 포스팅은 참고자료일 뿐, 모든 투자의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재테크 > 각종 정보,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4차 양적완화의 시작, 양적완화란 무엇이며,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 (0) | 2020.01.25 |
---|---|
미국 주식 배당금 및 배당 관련 정보 쉽게 분석하기 feat(dividend.com) (0) | 2020.01.25 |
미국국채를 사보자, 채권은 왜 사는가? #미국국채 #헤지 #TLT #IEF #SHY (0) | 2020.01.25 |
좋은 주식, 저평가주를 찾는 방법 #EPS #PER #BPS #PBR #ROE #ROA (0) | 2020.01.25 |
부자는 어떤이들인가? #부자 #부자란 #부자되기 (0) | 2020.01.25 |
댓글